Kinsta – Data Center 정하기
국내에서는 Kinsta 서버는 Seoul Region을 선택하면 되지만, 해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아래 사항을 점검해 봐야 합니다.
1) 주 접속지역을 파악한다.
주사용자의 접속지역이 정해진 경우라도, 무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의 도구를 이용해 주접속 국가를 파악합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 등 접속 국가 통계를 제공하는 트래픽 분석 도구
- WordFence 등 접소 국가 통계를 제공하는 보안 도구
2) C2 지원 Data Center로 대상을 좁힌다.
Kinsta를 GCP(Google Cloud Platform)을 인프라로 이용하며, 최신 C2 인스턴스를 지원하는 Data Center를 선택합니다. 가까운 곳의 구형 플랫폼 보다 다소 거리가 있더라도 신쳥 C2 플랫폼을 지원하는 곳의 속도가 빠릅니다. Available Regions for C2 Instances
위 목록에서 주 접속지역이 있다면, 주저 없이 선택하면 된다.
3) 지연 시간 파악
불행히 위 해당 지역이 없다고 크게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Kinsta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안정적인 속도를 제공합니다. 주 접속지역에서 가장 지연 시간이 낮은 지역을 선택하면 됩니다.
① VPN을 이용해 주접속 지역으로 접속합니다.
② GCPing을 이용해 Median Latency가 가장 낮은 지역을 선택합니다. 단, C2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지역 중에서 선택합니다. Latency는 시간에 따라 변동폭이 있습니다. 따라서, 차이가 크지 않다면 시간대를 나누어 반복 체크하거나, 주 접속지역과 가까운 지역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